2025.03.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4.9℃
  • 흐림강릉 4.9℃
  • 구름많음서울 4.8℃
  • 맑음대전 6.6℃
  • 맑음대구 7.4℃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7.4℃
  • 맑음고창 4.4℃
  • 구름많음제주 6.8℃
  • 구름많음강화 4.0℃
  • 맑음보은 4.6℃
  • 맑음금산 5.3℃
  • 맑음강진군 ℃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대학 소프트웨어교육 혁신모델 발굴·공유·확산

- 제 3차 SW중심대학 6개 대학 신규 선정 추진 -

- SW중심대학 6개 신규 선정으로 기존 대학 포함 20개 대학 지원
- 1.10일 사업공고, 3월 중 선정, 최장 6년 간 연 평균 20억원 차등지원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K-ICT전략의 성공적 수행과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를 선도할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핵심 SW인재 양성 위해 제3차 SW중심대학 지원대상 모집 공고를 1.10(화)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SW중심대학」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SW전문 인력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공급절벽”을 해소하고자, 대학 SW교육을 현장 수요기반으로 혁신하기 위한 사업으로, 

 대학들이 ①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과정 전면 개편, ② 타 전공지식과 SW소양을 겸비한 융합인재 양성, ③ 인재선발․교원평가 개선 및 SW가치 확산 ④ SW중심대학교육 확산을 위한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5년도 가천대 등 8개 대학*이 선정된 것을 시작으로 ’16년도에는 국민대 등 6개 대학**이 추가로 선정되어, 현재까지 총 14개 대학이 「SW중심대학」으로 지정ㆍ운영되어 강도 높은 SW교육 혁신을 진행 중이다.
 * ‘15년 : 가천대, 경북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 아주대, 충남대
 ** ‘16년 : 국민대, 동국대, 부산대, 서울여대, KAIST, 한양대

 ‘16년도에는 SW관련 전공 정원확대, SW특기자 선발*, SW단과대학 및 SW교육센터 설립 등 학제를 혁신적으로 개편하였으며, 
 * 정원 : ‘15년 1,722명→’18년 1,967명(245명, 14.2% 증) / 특기자선발 : ’18년 161명

 산업계 현장중심으로 SW교육과정을 개발ㆍ운영하고, 비전공자 대상으로 SW기초 교육 및 융합형 교육을 실시하였다.
 * SW교재 65개 개발, SW전공 교과목 503개 운영, 전계열 대상 SW프로그래밍 필수교과목 지정, 비전공자 대상 교과목 129개 개설 및 SW복수/연계전공 1,445명 참여 등

 특히, 참여기업이 제시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문제해결형 산학협력 프로젝트 176건을 수행하고 산업계 교수 30명을 채용하는 등 대학 SW교육의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올해에는 SW중심대학의 조기 확산을 위해 당초 계획(‘15년 추진계획) 보다 확대한 6개 대학을 신규로 선정하여 총 20개의 SW중심대학을 운영하고, SW중심대학의 우수 교육성과 및 콘텐츠를 대학사회 전반으로 공유ㆍ확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대비 유망 SW분야* 중 대학별 강점이 있는 특정 분야를 선정하여 ‘학부-석사 연계 전공’을 운영하고,
 * 인공지능(AI), SW, Cloud, 빅데이터, 정보보안 등 K-ICT 전략 SW기술분야

  SW중심대학 MOOC 강좌를 개발하고 통합 운영하여 우수강좌ㆍ교재를 타 대학 학생등과 일반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17년 MOOC 강좌 개발(대학당 1건)→ ’18년 강좌개설→ ‘20년 학점연계
 * SW교육효율화를 위한 온라인 코딩교육시스템 도입(예 : KAIST Elice)
 또한 SW중심대학 책임교수 등으로 구성된 ‘SW중심대학협의회’ (‘15.12월 설립)를 운영하여 SW중심대학 간 협력을 지속*하고, 
 * 국내외 기업·대학과 협력네트워크 구축, SW경진대회 및 공동 해커톤 프로그램 등 공동 개최, 캡스톤디자인 전시회 개최 등

 초중등 학생 및 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와 연계한 SW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교사 대상 SW직무연수, 고교 SW동아리 지원* 등을 통해 SW중심대학의 사회적 책무를 강화할 방침이다.
 * 대학생 SW봉사단(가칭 ‘Hi-SW봉사단’)을 구성하여 고교 수준에 맞는 SW동아리 교육과정 및 트랙을 개발·운영(1~2년)하고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인프라 지원

 동 사업에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은 2.20(월)까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홈페이지 : www.iitp.kr)에 지원서류를 제출하면 되며, 평가위원회의 서면 및 발표평가를 거쳐 3월 말 `17년도 신규 SW중심대학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대학에 대해서는 최장 6년 간, 연 평균 20억원이 지원되는데, 대학별 혁신 수준과 규모에 따라 지원규모와 내용이 달라진다.

 미래부 김용수 정보통신정책실장은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라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서 핵심기술 확보와 유망 신산업 분야를 선점하기 위해 핵심 SW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면서,

 “SW중심대학 확산을 통해 역량 있는 SW인재를 적기에 공급하여 SW중심사회의 조기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5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연구현장 탐방프로그램’ 이달 26일부터 시범운영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이달 26일부터 매월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기해 ‘연구현장 탐방프로그램’을 올 한 해 총 10회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정원은 매회 선착순 40명이고, 소요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관람객은 농업과학관과 국립농업과학원 곤충박물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보관 등을 순환버스로 이동하며, 전시품 관람과 시식, 체험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출발지인 농업과학관에서는 농업의 과거·현재·미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현대농업관, 미래농업관 등 상설 전시관을 둘러본다. 또한, 육종의 변천사 등을 주제로 마련된 특별전시를 관람하고,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접목 선인장 심기 체험과 가루쌀빵 시식도 준비했다. 국립농업과학원 곤충박물관에서는 곤충관, 양잠관, 꿀벌관을 차례로 돌며 설명과 함께 전시물을 관람한다. 누에 명주실 뽑기 등의 체험활동도 마련돼 있다. 종착지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홍보관에서는 우장춘 박사 일대기와 주요 업적 등에 대해 듣고, 홍보관 등도 방문한다. 연구 현장 탐방프로그램 신청은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 ‘청사 개방 안내→연구 현장 탐방 신청’에서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농촌진흥청 연구관리과(063-238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국립자연휴양림에서 뭐 하고 놀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3월부터 전국 국립자연휴양림에서 2025년 산림교육문화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산림교육문화프로그램은 국립자연휴양림에 배치된 산림복지전문가(숲해설가 122명, 유아숲지도사 10명, 산림치유지도사 15명)가 진행하며, 휴양림별 특색있는 시설과 산림자원을 활용해 연말까지 운영된다. 특히, 유아숲지도사가 배치된 휴양림(유명산, 용현, 상당산성, 방장산, 낙안민속)에서는 유아 보육·교육기관과 연계해 정기적으로 숲 교육을 진행하고, 산림치유지도사가 있는 휴양림(유명산, 산음, 대관령, 남해편백, 청태산)은 산림의 치유 인자를 활용해 임산부, 스트레스 직군 종사자 등 대상별 맞춤형 치유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산림복합체험센터가 있는 휴양림(유명산, 용화산, 남해편백, 청태산, 칠보산, 대관령, 희리산해송)에는 역동적인 실내 체험시설과 가상 현실(VR) 시설 등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하기 좋다. 한편,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시·청각 장애인도 숲 해설을 체험할 수 있도록 유명산자연휴양림과 무의도자연휴양림에 수어 및 점자 숲 해설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다른 국립자연휴양림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 밖에 국립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