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4 (금)

  • 맑음동두천 2.0℃
  • 맑음강릉 6.3℃
  • 맑음서울 5.8℃
  • 구름조금대전 6.4℃
  • 흐림대구 5.0℃
  • 구름많음울산 4.7℃
  • 흐림광주 8.2℃
  • 구름많음부산 8.0℃
  • 흐림고창 5.8℃
  • 흐림제주 11.4℃
  • 맑음강화 3.7℃
  • 구름조금보은 2.1℃
  • 구름많음금산 2.4℃
  • 흐림강진군 5.0℃
  • 구름많음경주시 1.1℃
  • 구름많음거제 5.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H5N6형 AI 바이러스 유전자분석 2차 중간결과


우리나라에서 발생 중인 고병원성 AI (H5N6) 바이러스의 유전자분석 중간결과 발표(11월 28일) 이후, 현재까지 추가적으로 분리된 H5N6 바이러스(106건)를 분석한 결과, 분리된 H5N6 바이러스는 모두 5개의 유전형에 속하였음

이는 11월 29일 역학조사위원회 결과 발표한 5개 유전형에서 추가된 것이 없이 동일한 결과임(C1-C5형) C1형 2건, C2형 20건, C3형 9건, C4형 59건, C5형 16건이었음

* PA 유전자 3종류(그룹 간 91.49∼94.14%)와 NS 유전자 2종류(그룹 간 96.72∼97.33%)를 기준으로 이론상 6가지 발생 가능한 유전형 중 5가지가 발생

우리나라 H5N6 바이러스는 중국 광동성에서 유행하였던 H5N6 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추정되는 유입 경로는 2016년 봄 중국 광동성에서 H5N6에 감염된 야생조류가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 지역의 번식지로 이동 후, 이곳에서 교차 오염된 야생조류가 우리나라로 도래하면서 유입

우리나라 H5N6 바이러스 중 C1형, C2형은 중국 H5N6 바이러스와 98.42∼99.93% 상동성을 보여 동일한 유전형으로 분석됨  

 - C3∼C5형은 중국 H5N6 바이러스와는 PA 유전자에서 일부 차이를 보였으며(91.82~92.79% 상동성), PA 유전자는 야생조류에 있는 저병원성 AI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정됨

참고로, 최근 중국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 유행하는 H5N6 바이러스는 최소 34개의 유전형이 있으며, 이 중 G1.1.9형이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H5N6 바이러스와 가장 유사함

* 중국 발표논문(Cell Host & Microbe지, ‘16.12.14자)
G1.1.9형은 중국 광동성 생축시장의 오리에서 2016년 1월 분리된 바이러스들이 속하는 유전형임
지금까지 분석된 전장 유전자 분석자료(8건)는 인플루엔자 유전자 데이터베이스(GISAID; global initiative on sharing all influenza data, accession no. EPI866074-EPI866137)에 12월 13일자로 공개하였음

향후에도 유전자 분석정보, 현장 역학 분석자료 등을 종합하여 역학조사에 활용해 나갈 계획임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정판 완판” 하림, 푸디버디 ‘핑크퐁당라면’ 정식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어린이식 브랜드 푸디버디의 한정판 제품인 ‘핑크퐁당라면’을 정식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정식 출시가 결정된 ‘핑크퐁당라면’은 푸디버디의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지난 11월 출시된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지난 8월 스타필드 하남에서 진행한 푸디버디 ‘ㅍㅍㅍ팝업스토어’의 라면 만들기 체험에 참여한 아이들에게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던 ‘핑크컬러면’으로 제작됐다. 푸디버디가 30만개 한정으로 선보인 핑크퐁당라면은 약 한 달 만에 전량 완판됐다. SNS와 쇼핑몰 등에서도 “비주얼, 맛 모두 좋아서 아이간식으로 인기만점”, “맛도 맛이지만 핑크 면, 핑크 어묵, 핑크색 패키지마저 사랑스럽다” 등의 긍정적인 후기가 쏟아지면서 어린이와 부모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핑크퐁당라면은 레드비트로 색을 낸 핑크 건면과 핑크 꽃 어묵으로 사랑스러움을 극대화한 제품이다. 20시간 진하게 우린 사골 육수에 진한 고기향의 녹진함과 고소한 풍미가 어우러져 부드러운 맛을 자랑한다. 시중에 판매 중인 일반 성인용 국물라면 제품 대비 나트륨 햠량도 약 32%를 낮춰 아이들이 먹기 좋도록 짜지 않게 했다. 또한, 아이들이 한입에 넣기 좋은 1mm의 얇은 두께로

산림

더보기
산림청, 3월 이달의 임산물로 ‘산딸기’ 선정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3월 이달의 임산물로 상큼한 맛과 기력 회복에 좋은 ‘산딸기’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산딸기는 달콤하면서도 새콤한 맛을 지닌 건강식품으로,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와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준다. 특히 비타민-씨(C),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해 항산화 효과를 높이고 염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산딸기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암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눈의 피로 해소 및 망막에서 빛을 전달하는 ‘로돕신’의 재생을 촉진해 야맹증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 출처 : 숲이 주는 건강한 선물, 숲푸드의 과학적인 효능․효과(산림청, 2025) 산딸기는 신선한 과육 형태로 섭취할 뿐만 아니라 잼, 주스, 드레싱, 제과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소비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을 고려한 저당 식단을 선호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산딸기 요거트, 산딸기 식초 등의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산딸기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다양한 식품 및 기능성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라며, “산딸기를 비롯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