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어린잎채소 수확 후 품질관리 체계 확립

- 농촌진흥청, 매뉴얼 만들어 관련 기술 확대 보급에 나서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주)미래원(대표 박종위)과 공동 연구를 통해 어린잎채소의 '수확 후 품질관리 체계를 확립'해 보급에 나선다고 밝혔다.

어린잎채소는 잎이 완전히 성숙하기 전에 수확하는 10cm 이내의 잎채소로 샐러드, 비빔밥 및 나물용 채소로 이용이 늘고 있다.

조직이 연한 잎을 수확하기 때문에 신선도 유지가 어렵고 미생물 증식이 빨라 고품질을 유지하면서 위생적으로 생산하는 수확 후 품질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농촌진흥청 저장유통과에서 확립한 수확 후 품질관리 체계는 일반 농산물의 경우, 수확→예냉→포장→출하 단계이며 신선편이 농산물은 예냉 뒤 세척→탈수 단계가 추가된다.

어린잎채소의 수확은 잎 길이가 10cm 이하일 때 수확하고 수확할 때 사용하는 칼은 토양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흙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수확 후에는 5℃ 이하로 유지되는 예냉실로 이동해 선도저하를 방지한다.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0.02~0.03mm 두께의 PE(폴리에틸렌) 필름에 어린잎채소를 담은 후 품온1)을 낮춘다.

신선편이 농산물로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3단계 세척(1차 : 이물질 제거/버블, 2차 : 60ppm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침지, 3차 : 헹굼/침지)을 각 2분~5분 실시하며 회전식탈수를 950rpm, 30초~70초 실시한다.

일반 농산물 포장을 위한 작업장 온도는 15℃~18℃, 신선편이 농산물 세척 및 포장을 위한 작업장 온도는 10℃ 이하로 관리하며 완제품을 출하할 때는 저온유통을 실시한다.

  - 수확 후 관리 기술을 적용한 어린잎채소의 품질유지기간은 저온(5℃) 유통 기존 9일에서 11일까지 늘릴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수확부터 유통에 이르는 수확 후 품질관리기술을 정리한 매뉴얼을 만들어 생산 및 유통현장에서 기술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계획이다.

이번 달 13일에는 (주)미래원(경기도 평택시)에서 관련 전문가와 농업인을 대상으로 어린잎채소 수확 후 품질관리기술에 대한 현장평가회를 실시한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