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협동조합

이듬해 봄 파종할 인삼 종자, 지금부터 관리 잘해야

- 0℃~-2℃의 저온저장고에 90일~100일간 보관 -

이미지 대체 내용을 작성합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이듬해 봄에 파종할 인삼 종자를 지금부터 저온 저장 관리를 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인삼 종자는 대부분 가을에 파종을 하지만 파종 시기를 놓쳤거나 겨울철 수분관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농가에서는 봄 파종을 한다.


봄 파종을 할 때는 11월에 후숙(개갑)이 끝난 인삼 종자를 겨울 동안 잘 보관해야 이듬해에 파종을 할 때 부패하지 않고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봄 파종을 계획하는 경우에는 저온에서 90일~100일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늦어도 12월 초엔 저온처리를 시작해야 한다.


후숙이 덜 된 종자는 출아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개갑이 덜 됐으면 15℃~20℃를 유지하는 곳에 3일~7일 가량 두고 개갑이 완료된 다음 저장한다.


종자 저장은 토양에 묻는 것보다 저온저장고에 넣어두는 것이 더 안정적이다.


알맞은 저장고 온도는 0℃~-2℃이다. 토양에 묻게 되면 환경 조절이 어려워 일찍 발아하거나 썩을 우려가 있다.


-2℃ 보관종자는 보관한지 100일이 지나도 미발아 상태로 남아 있고, 건조하지 않고 보관한 종자의 발아력을 조사했을 때 -2℃에 보관한 종자가 2℃에 보관한 종자보다 19%p 높게 발아했다.


저온저장고에 보관 할 때에는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스티로폼 상자 등에 넣어 보관한다.


젖은 종자를 -2℃에 저장하면 종자가 살짝 어는데, 파종하기 3일~5일 전에 반드시 서늘한 곳(2~4℃)에서 순화한 뒤 파종해야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언 종자를 갑자기 온도가 높은 곳에서 녹이면 종자 활력이 떨어져 발아율도 떨어짐


또한 종자를 건조 후 저온저장(-2℃)을 할 경우 건조하지 않고  종자를 저장했을 때(-2℃)보다 발아가 평균 14%p 향상됐다.


종자를 말릴 땐 딱딱한 겉껍질만 마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망에 든 종자를 고르게 펴고 빨리 마를 수 있도록 자주 뒤집어 주면서 말린다.


말린 종자를 저온 저장한 다음 봄 파종할 때는 수분 흡수가 어려우므로 파종 전에 흐르는 물에 하루 정도 담근 뒤 파종하면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기 쉬워진다.


농촌진흥청 인삼과 서수정 박사는 “인삼 재배에서 묘 생산이 반농사이기 때문에 우량묘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정지 관리, 세심한 종자 관리가 중요하다”라며, “수분 및 파종시기를 잘 조절하는 것도 성공적인 인삼 재배에 필수적이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