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전국공항(인천 제외) 영업수지 추이
지속적인 여객 증가에 힘입어 그동안 적자로 운영되었던 청주 공항과 대구 공항이 올해에 흑자를 보일 전망이다.
* 올해 청주 공항은 5억 원, 대구 공항은 9억 원 정도로 운영 흑자가 전망된다.
그간 국내공항은, 전체 여객의 90% 이상이 김포, 김해, 제주 공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 공항은 지속적으로 연 평균 10%에 육박하는 높은 여객 증가율과 함께 흑자 운영인 반면, 나머지 공항들은 지역민의 이동수요 편의 제공 측면에서는 기여하였으나, 공항 경영적 측면에서는 적자로 운영되어 왔었다는 점에서 올해 청주·대구 공항의 운영이 흑자로 전환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두 공항의 운영이 흑자로 전환된 것을 계기로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는 향후 전국 지방 공항의 활성화 추진을 결의코자 21일 청주공항에서 ‘대한민국 연간 항공여객 1억 명 달성 지방 공항 활성화 축하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에는 국토교통부 2차관, 충북부지사, 청주시장 등 항공업계 관계자 약 80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공로자 표창 전달 등이 진행되었다.
아울러, 씨아이큐기관(CIQ, 관세·출입국·검역 기관), 보안기관, 항공사, 공항공사 및 협력사 대표 5인이 ‘우리의 다짐’을 낭독하며 지방공항 활성화를 선포하였다.
이번 2개 공항이 흑자로 전환된 것은 그동안 국제노선 확대 등 지방공항 활성화 정책과 저비용 항공사의 취항확대, 저유가 등이 맞물린 결과이다.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는 ‘14년 이후 항공회담을 통해 확보한 중국 노선 운수권(주 108회, 신규노선 22개)중 21%인 7개 노선 주 23회를 지방 공항(청주, 대구, 무안, 양양)에 배분하였고, 신규 취항 노선에 대해 3년간 착륙료를 100% 감면하고 증편 시에도 감면 폭을 확대하는 등 취항 유도 인센티브를 강화해왔다.
* 운수권 확보 현황: 청주 8개 노선(주38회), 대구 3개 노선(주17회), 무안 5개 노선(주29회), 양양 3개 노선(주 13회)
아울러, ‘14년 이후 지방 국제공항을 무비자 환승공항으로 운영하고 항공·관광 연계상품 개발·운영 및 지자체 합동 해외마케팅 등 관광을 통한 여객수요 창출에도 노력해왔다.
* 제주 방문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해 5일간 무비자 환승을 허용함(양양은 10일)
특히, 청주 공항은 국제선이 97년 4월 오사카에 첫 취항한 이후 노선수가 ‘12년도 4개 노선에서 2배 가량 증가하여 현재(동계 스케쥴 기준) 7개 노선(부정기 포함)이 운항 중이며, 여객수도 같은 기간 129만 명에서 278만 명(올해 말 기준 추정)으로 약 110 %가량 증가하였다.
대구도 ‘12년도 2개국 3개 노선에서 현재(동계 스케쥴 기준) 4개국 10개 노선(부정기 포함)으로 확대되며 여객수가 110만명에서 249만명(금년말 기준 추정)으로 약 120% 이상 증가하였다.
국토교통부는 향후에도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해 공항별 맞춤화 전략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내년에 한중 항공회담을 통해 중국노선 운수권을 확보하여 여객수요가 있는 지방공항에도 배분할 계획이며 저비용항공사, 외국항공사 등의 지방공항 운항여건 개선을 위해 올해 무안, 양양 공항에서 착수한 지상조업 서비스(10월~)는 시행성과를 고려하여 타 공항으로 확대해갈 예정이다.
아울러, 여객수요 증가 시에도 여객 서비스 수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터미널 리모델링(김포, 김해, 제주, 청주) 및 주차빌딩 건립(김포, 제주, 청주 등) 등 인프라를 확충하는 동시에, 버스노선 증편과 지정좌석제 도입 및 통합매표소 설치(김포·김해, ‘17~) 등 대중교통 여건 개선과 주차장 혼잡정보와 만차 시 인근 사설주차장 정보 등을 알려주는 스마트 주차 앱 서비스(김포, ‘17.12~)도 시행할 계획이다.
여객 수에 맞춰 항공사간 체크인 카운터를 탄력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공용 체크인카운터(청주·대구, ‘16.12~) 도입과 웹/모바일 체크인 및 셀프체크인 등 공항서비스 개선에도 중점 투자할 예정이다.
최정호 국토교통부 2차관은 축사에서 “청주·대구 공항의 운영이 흑자로 전환된 것을 계기로 전반적으로 지방 공항이 활성화되고 지역관광이 촉진되어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 지자체, 한국공항공사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