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3 (월)

  • 구름조금동두천 0.8℃
  • 흐림강릉 3.7℃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4.6℃
  • 구름조금대구 3.8℃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4.7℃
  • 맑음고창 5.4℃
  • 구름조금제주 8.5℃
  • 구름많음강화 1.1℃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4.2℃
  • 맑음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외식산업

농림축산식품부, 16년 외식기업 해외진출 조사결과 발표

- 188개 외식기업, 50개국에서 5,476개 매장 운영 -

‘16년 외식기업 해외진출 실태 조사 결과, 188개 외식업체 50개 국가에서 5,476개 매장을 운영

* ‘15년(138개 업체/ 4,656개 매장)대비 17.6%, `10년(991개)대비 452.6% 성장

 `16년 외식기업 해외진출의 주요 특징은 ① 한식업종의 해외진출 증가, ② 중국․필리핀․베트남 등 아시아 매장 증가, ③ 해외 진출방식 다양화

* 한식(업체수/매장수): (`13) 45/257→ (`14) 46/348→ (`15) 53/480→ (‘16) 79/732
  비한식(업체수/매장수): (`13) 54/2,460→ (`14) 78/3,378→ (`15) 88/4,176→ (‘16) 118/4,744

* 중국(`15, 1,814 → `16, 2,786매장), 중국․일본 이외 아시아(`15, 959 → `16. 1,290)

* 직영점진출(`15, 19.8%→`16, 36.6%), 마스터 프랜차이즈(`15, 51.3%→`16, 19.8%), 국제 가맹점 진출(`15, 15.0%→`16, 33.7%) 

국산 식재료 수출규모 340억원 추정*. 전년 대비 3.9% 증가

* 식재료 수출금액 공개 41개 기업(231억2천만원) + 비공개 25개 기업 추정(108억8천만원)

농식품부,「민․관합동 글로벌 외식기업 협의체」를 통해 기업 의견 지속 수렴하고,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다양한 사업 추진 계획

* 해외진출 관련 기업 애로사항으로 현지인력 충원, 현지 법․제도로 인한 어려움,  식재료 수급 순으로 조사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농식품 5대 민생패키지로 “더 튼튼한 민생”, 4+4 구조전환·혁신 프로젝트로 “더 나은 농업·농촌의 미래”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더 튼튼한 민생, 더 나은 농업·농촌의 미래”를 목표로 2025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농식품부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내수 부진 등 어려운 민생 여건을 고려하여 농식품 5대 민생 안정 패키지를 중심으로 농업인과 국민의 삶을 안정시키는 데 총력을 다한다. 아울러, 농업·농촌 전반의 구조개혁과 함께 새로운 성장모델을 만들어 나간다. 농지, 쌀 산업 등 농업·농촌 4대 구조개혁을 본격화하고, 미래 세대를 준비하기 위한 新산업 4대 혁신 프로젝트와 동물복지 및 환경친화적 농축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1. 농식품 분야 민생 안정 5대 패키지 집중 지원 우선, 직불·수입안정보험 중심으로 농업인 소득안정 모델을 강화하고 서비스 제공방식 전환으로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을 혁신적으로 제고한다. 농업인들의 기초 소득 수준을 높여 나가기 위해 직불제 시행 후 최초로 기본 면적직불 단가를 5% 인상하고 현재 3,700만 원인 직불금 지급대상자의 농외소득 기준을 가구소득 증가율을 고려하여 완화한다. 재해·가격변동까지 경영 위험을 다층적으로 보장하는 농업수입안정보험을 전면 도입(9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산림청, 2029년까지 목재자급률 27%까지 확대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목재산업 발전 및 국산 목재이용 활성화를 위해 ‘제3차 목재이용종합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제3차 목재이용종합계획’은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국산목재 이용 확대와 목재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주요 5대 전략에 대한 15개 과제를 담고 있으며 세부 추진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속가능한 목재 생산 확대를 위해 경제림 육성단지 경영체계를 개선하고 임도·고성능 임업기계 등 생산 기반시설을 확충해 ‘산림자원순환경영’을 확산한다. 또한 목재수급 안정화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해외 산림투자 지원을 활성화한다. 다음으로 목재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친환경성·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목조건축을 확대한다.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목조건축 분야 규제개선 등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소비자가 편리하게 목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국산 원목의 용도별 유통체계를 개선해 일원화된 목재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별로 특성화·효율화된 목재산업단지를 조성해 생산·유통·기술협력 등 기반시설을 지원함으로써 목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적·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