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4 (화)

  • 흐림동두천 0.2℃
  • 구름많음강릉 6.9℃
  • 박무서울 3.0℃
  • 구름조금대전 7.8℃
  • 구름조금대구 5.4℃
  • 맑음울산 8.9℃
  • 연무광주 5.1℃
  • 맑음부산 8.2℃
  • 맑음고창 6.6℃
  • 구름많음제주 12.7℃
  • 흐림강화 -1.6℃
  • 구름많음보은 4.6℃
  • 구름많음금산 6.8℃
  • 맑음강진군 5.2℃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정책

“된장의 맛과 향, 미생물이 좌우한다”

- 한국식품연구원, 차세대 유전자 분석에 의한 전통된장 내 특정 미생물군이 된장의 향/맛과 관련이 있음을 국내 최초로 확인-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용곤) 감각인지연구단에서는 전문패널에 의한 감각 평가와 차세대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전통된장 내 특정 미생물 군이 된장의 향/맛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식품분야 국제학술지인 ‘Food Research International’에 발표하였다.

 그동안 전통된장의 항산화, 항염증, 항암효과 등 다양한 기능적인 측면의 연구가 보고되어 왔지만, 전통 된장의 맛과 차세대 유전자 분석, 즉, DNA 분석에 의해 확인된 미생물군과의 상관성은 거의 알려진 바 없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통 된장 내 발효 중 특정 미생물에 의한 된장의 향과 맛 조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연구팀은 전통된장의 향/맛과 미생물 군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훈련된 패널을 통하여 전통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향과 맛 특성 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차세대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전통된장 내 미생물 군을 분석하였다. 된장의 다양한 향/맛 특성과 미생물 군집 간의 다변량 분석 결과를 통해서 전통된장 내 특정 미생물 군집이 된장의 향/맛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련 내용은 식품분야 상위의 국제학술지인 ‘Food Research International’에 논문명‘전통된장 내의 미생물 군과 관능 특성의 연계성’으로 게재되어 우리 전통식품인 된장의 맛과 DNA 분석에 의해 확인된 미생물군과의 관계를 세계 최초로 보여주었다. 

 현재 연구팀은 된장을 포함한 전통장류를 바탕으로‘저염 전통장류의 발효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과 맛의 변화 연구 및 장류의 감각적 품질 측정을 위한 시스템적 판별기법 개발’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의 곽한섭 박사는 “전통된장의 맛과 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전통 된장 내 특정 미생물 군이 된장의 향/맛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세계 최초의 연구결과”라고 밝혔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특정 미생물에 의해 전통 된장의 향과 맛 조절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강조하였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산림청, 2029년까지 목재자급률 27%까지 확대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목재산업 발전 및 국산 목재이용 활성화를 위해 ‘제3차 목재이용종합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제3차 목재이용종합계획’은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국산목재 이용 확대와 목재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주요 5대 전략에 대한 15개 과제를 담고 있으며 세부 추진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속가능한 목재 생산 확대를 위해 경제림 육성단지 경영체계를 개선하고 임도·고성능 임업기계 등 생산 기반시설을 확충해 ‘산림자원순환경영’을 확산한다. 또한 목재수급 안정화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해외 산림투자 지원을 활성화한다. 다음으로 목재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친환경성·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목조건축을 확대한다.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목조건축 분야 규제개선 등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소비자가 편리하게 목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국산 원목의 용도별 유통체계를 개선해 일원화된 목재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별로 특성화·효율화된 목재산업단지를 조성해 생산·유통·기술협력 등 기반시설을 지원함으로써 목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적·사회적